본문 바로가기
1. 수벽치기 소개자료/1-3. 신문기사, 사진자료

(English) Martial art that almost died.

by 줏대벼르기 2010. 6. 8.

 

 

Martial art that almost died
 Subyok chigi master tracked down secretive tradition to bring it into the light

 
 They may own a cutting-edge IT infrastructure, but Koreans are not known for their free and frank sharing of information: Ask any foreign investor about difficulties in the local business environment, and transparency is certain to be near the top of the list. But at least today's Korean corporations are beginning to understand that disclosure is in their best interests.

Consider, then, the frustrations experienced by a man who has made it his life’s work to delve into perhaps the most secretive aspect of Korea’s deeply conservative culture: traditional martial arts.

"Taekwondo and modern martial arts are normally very commercialized," says Yook Tae-ahn, today the sole active master of Korea’s oldest extant martial art, subyok chigi(literally, "striking or clapping with the hands;" also romanized as subyok), a practice first mentioned in the Koryosa, or "History of Goryeo," of 1147. "But the real, traditional systems were kept hidden from the outside world."

How secretive are these arts? Few know they even exist.

It was during the 1980s, in the midst of Korea’s economic boom, that Mr. Yook, then a hapkido student in his 30s, decided to search out the old, native martial arts rather than Korea's modem, Japanese-influenced styles. His recommendations came by word of mouth - "I would hear of a guy who did certain practices" - but when he traveled to meet the person in question, he often found the master had already died or was too sick or old to teach.

Those who did have a background were intense!y secretive. "These were not mystical masters on mountaintops; these were regular guys with regular jobs, but sometimes even their families did not know they practiced," Mr. Yook says. Such men would not teach an outsider.

Tradition of secrecy

Their closed doors had a long tradition. "In the Goryeo Dynasty, martial artists were respected persons," says Mr. Yook. "But when Goryeo was overthrown in 1392 and the Yi Dynasty established, martial artists were forced into the army or were looked down upon in favor of scholars."

He believes that it was during this dynasty, and lat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at practitioners became so intensely secretive. "Martial artists were suppressed (by the rulers) during those eras; I believe some became assassins," he says.

 

 

 However, he states that the real damage to Korea’s home-grown martial traditions took place from the 1950s onwards.

"Many practitioners were killed during the Korean War, and after the war, they had no food, no money, and so could not practice." He also hints that from the 1960s to 1980s, the dominant organizations marketing Korea’s modern martial arts,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 deliberately suppressed the older styles.

By the late 1980s, his search for these lost arts had become dispiriting - until he met Shin Han-seung. Mr. Shin was one of the last two masters of taekyun, a traditional folk martial art.

"I wanted to learn taekkyun from him," says Mr. Yook, "but when I met him, he was researching subyok chigi. He wanted to pass on what he had learned."

Mr. Shin had tracked down a practitioner of that art, but he died in 1987, of cancer. All Mr. Yook was left with were some of Mr. Shin’s personal notes on subrok. Among these was a single sheet of A3-sized paper on which were scribbled a series of notes and sketches. Also on the sheet were names and contact details.

And at the bottom, a cryptic message: "Live like a grinding stone."

Mr. Yook traveled to the address mentioned in the notes, in the central Korean market form of Chungiu. He knocked on the door. It was opened by an older man.

As soon as he saw him, a strange shock of recognition hit Mr. Yook: "I just knew this man was a master."

He immediately requested instruction. The man flatly denied any knowledge of martial arts, and made to close the door. Mr. Yook begged entrance, telling him he had traveled far. The host grudgingly acquiesced, and the two sat down to drink tea.

As they drank, the man told Mr. Yook, "Life is like a stone bean curd bowl: When you are grinding bean curd, you must turn the pestle only one way. If you turn it the opposite way, it will splash up. Always go with the flow, the natural way."

The scrawl at the bottom of Mr. Shin’s notes made sudden sense. It was the first lesson. Mr. Yook had finally found his man.

Mr. Yook later returned to Chungiu with Mr. Shin’s notes. He asked the old man again if he had any martial arts knowledge. The man conceded, guardedly, that he might. After a series of meetings, the master at last admitted his skill and slowly began to reveal it.

He was, indeed, a master of subyok chigi. His nickname was "ll-dong."

Over the course of five years, Mr. Yook was initiated into subyok. It took him that long to learn the material on that one sheet he had inherited from Master Shin.

At ll-dong’s house, he was only once introduced to another practitioner of subyok, though he never learned his name. That man confided that ll-dong had other students, though he had never met them.

At the end of the five years, the master told Mr. Yook, "I have taught you everything. Don’t come again, not even to my funeral. I live on in the movements I have taught you."

Even so, Mr. Yook continued to visit, though he learned nothing more. His teacher still lives in Chungju, but is today not teaching at all, preferring to spend his time with his grandchildren.

"He was uneducated, and hence of a low social status," muses Mr. Yook. "I think that is why he did not make his knowledge public; he did not want people to look down on this art."

 

Art reborn

Mr. Yook now considers his life’s work to be the creation of a rational syllabus that will lead to a resurrection of the art.

The moves he demonstrates in his well-maintained southern Seoul training hall are fluid and rhythmic. No observer would confuse it with taekwondo or hapkido, though he says martial artists with previous experience are a step up in learning it.

He calls subyok "sword fighting without a sword," and extensive use is made of the stabbing hand. Unlike modem martial arts, kicks are kept generally low. There is a range of trips and throws, and short swords and sticks are also utilized.

Subyok’s warm-ups exercise the spine, and, uniquely, include a number of clapping movements, which Mr. Yook claims help in unifying body, mind and spirit. He has published books on the art’s health-giving side, and has also demonstrated subyok at festivals in Avignon, france; Amsterdam, Holland, and Brussels, Belgium.

"There are no set 1-2-3 form sequences in subyok," explains Mr. Hong Jun-eui, 37, a salaried man who came to the martial art after training in taekwondo and hapkido. "Nor are there forceful moves like taekwondo and karate; it is natural movement, and movement principle. But once you learn the principles, you can create 1,000 forms of your own."

Mr. Hong also says the art is culturally suited to Koreans, who will immediately recognize movements and rhythms from Korean dance.

Paradoxically, power is built into the softness. "Although we do not do hard, breaking exercises, I was surprised to find, after training I subyok, that I could hit the punching bag with greater force," says Mr. Hong.

Mr. Yook is not in favor of the trend toward no-holds-barred martial arts. Instead, he prefers to teach the artistic and healthful aspects.

"This art is not about fighting, it is about finding your central equilibrium," he says. "Sparring and fighting are parts of martial arts, but not the whole."

While he does not keep subyok secret, he does not take on beginners: Only those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other martial arts, as well as actors and dancers, are accepted for training. He says the art he took so much trouble to find and learn is profound.

"Martial arts cannot be sport," he says. "They are mankind’s pinnacle of achievement in the blending of physical culture and spirit."

 

by Andrew Salmon

 

  

 

 

 

 

거의 사라졌던 무술

수벽치기 달인, 빛을 보게 하기 위해 숨겨진 전통을 추적

 

한국인들은 첨단의 IT 인프라를 갖고 있을 수도 있지만, 자유롭고도 솔직한 정보 공유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는 않다: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한국내의 사업 환경의 어려움에 대해 물어본다면, 투명성이 분명히 최고 순위에 오를 것이 틀림없다. 하지만 적어도 오늘날의 한국 기업들은 그들의 최대 이익을 위해 투명성을 이해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면, 아마도 한국의 가장 보수적인 문화의 가장 비밀스런 일면일지도 모르는 것을 탐구하는 것을 그의 인생의 과업으로 삼은 남자가 경험한 좌절감에 대해 고찰해보라.

 

“태권도와 현대 무술들은 대개 매우 상업화되어있습니다,” 육태안씨의 말이다. 그는 1147년의 고려사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기술인, 오늘날 현존하는 한국의 가장 오래된 무술, 수벽치기(글자 그대로, “손으로 때리거나 박수를 치기”)의 유일한 현역 지도자이다. “하지만 진짜, 전통 체계들은 외부세계로부터 숨겨졌었죠.”

 

이러한 기예들은 얼마나 비밀스러울까? 대부분은 그것들이 존재한다는 것조차도 모른다.

 

한국의 경제부흥기인, 1980년대, 육태안씨는 삼십대의 합기도 수련생이었는데, 한국의 현대적이고, 일본의 영향을 받은 것들보다는, 옛날의, 토속 무술을 찾을 결심을 하였다. 전해 듣는 얘기들 중, 어떤 특별한 무술이다 싶으면 귀를 기울이곤 했지만, 그가 문제의 그 사람을 만나러 가면, 종종 그 달인이라는 사람이 이미 죽었거나 너무 병들었거나 너무 늙어서 가르칠 수 없음을 발견하곤 했다.

 

그런 배경을 가진 사람들은 너무나 비밀스러웠다. “이들은 산꼭대기에 있는 신비한 고수들이 아니었습니다; 이들은 일상적인 직업을 가진 보통 사람들이었지만, 때때로 그들의 가족들조차도 그들이 수련한 것을 몰랐죠,”육태안씨는 말한다. 그런 사람들은 외부인들에게 가르치려 들지 않았습니다.

 

 

비밀주의의 전통

그들의 폐쇄적인 태도는 오랜 전통을 갖고 있다. “고려 왕조에서, 무술가들은 존경받는 사람들이었죠,” 육태안씨는 말한다. “하지만 고려가 1392년에 망하고 이씨 왕조가 세워진 후, 무술가들은 군대에 갈 것을 강요받거나 학자들을 우대하느라 경시되었죠.”

 

그는 이 왕조 동안에, 그리고 후에 일제 강점기(1910-1945)에도 그러했기에, 수련자들이 그토록 심하게 비밀주의가 되었다고 믿는다. “무술가들은 (통치자들에 의해) 그 시기에 탄압받았죠; 일부는 암살자들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말한다.

 

그러나, 그는 한국의 국내 무술 유산들에 대한 진정한 위협은 1950년대 이후에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많은 수련자들이 한국 전쟁 때 죽었고, 전후(戰後)에, 그들은 먹을 것도, 돈도 없어서 수련할 수 없었습니다.” 그는 또한 지배적인 단체들이,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 한국의 현대 무술들을 국내에서, 그리고 국제적으로 홍보하면서 고의적으로 옛날의 무술들을 탄압했다고 또한 귀띔한다.

 

1980년대까지, 이러한 잃어버린 무술들을 찾으려는 그의 노력은 낙담의 연속이었다 - 신한승 선생을 만날 때까지는. 신한승 선생은 전통민속무예, 택견의 돌아가신 두 달인 중의 한 명이었다.

 

“그분에게서 택견을 배우길 원했죠,” 육태안씨는 말한다, “그러나 내가 그분을 뵈었을 때는, 그는 수벽치기를 연구하고 계셨어요. 그분은 그가 터득한 것을 전수하고 싶어하셨죠.”

 

신한승은 수벽치기의 수련자를 찾아내려 해 왔었지만, 1987년에, 암으로 돌아가셨다. 육태안씨에게 남겨진 것은 신한승 선생이 수벽에 대해 남긴 개인적인 정리노트들 약간이었다. 그 정리본들 중에서 몇 장의 A3용지에 일련의 정리와 삽화들이 기록되어 있었다. 또한 그 종이에는 명칭들과 겨루기의 세부 사항들도 있었다.

 

그리고 아랫부분에는, 불가해(不可解)한 말이 있었다: “숫돌처럼 살아라.”

 

육태안씨는 노트에 언급된 주소로 갔는데, 충주(Chungju)에 있는 한국식 중앙재래시장이었다. 그는 문을 두들겼다. 한 나이 지긋한 사람이 문을 열어주었다.

 

그를 보자마자, 이상스런 인식이 육태안씨를 강타했다: “난 그 사람이 달인임을 알았죠.”

 

그는 즉시 가르침을 청했다. 그 남자는 무술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다며 거절했고, 문을 닫으려 했다. 육태안씨는 먼 여행을 했다고 말하며 들여보내줄 것을 간청했다. 주인은 마지못해 그렇게 했고, 그 둘은 앉아서 차를 마셨다.

 

차를 마시며, 그 남자는 육태안씨에게 말했다, “삶이란 것은 두부를 만들려고 콩을 가는 맷돌과 같은 것입니다: 콩을 갈고 있을 때는, 오직 한 방향으로만 그것을 돌려야만 하죠. 당신이 그걸 반대방향으로 돌린다면, 콩이 튀어 나올 겁니다. 자연의 방식, 흐름과 항상 같이 가도록 하세요.”

 

신한승 선생의 노트 아래에 있던 낙서가 갑작스레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것이 첫 수업이었다. 육태안씨는 마침내 그가 원하던 사람을 찾아낸 것이다.

 

육태안씨는 이후 신한승 선생의 노트를 들고 충주로 되돌아왔다. 그는 그에게 그가 무술에 대해 알고 있는지 다시 한 번 물었다. 그 남자는 조심스럽게 그럴 수도 있다고 인정했다. 일련의 만남 이후, 그 달인은 마침내 자신의 무술을 인정했고 차츰 공개하기 시작했다.

 

사실, 그는 수벽치기의 달인이었다. 그의 별명은 “일동”. 5년 이상의 수업을 통해, 육태안씨는 수벽을 전수받았다. 신한승 선생으로부터 물려받았었던 종이 한 장에 있는 내용을 배우는 데 그토록 오래 걸린 것이다.

 

일동의 집에서, 그는 딱 한 번 또 한 명의 수벽 수련자를 소개받았었지만, 이름은 끝내 알 수 없었다. 그 남자는 일동에게 다른 제자들이 있었음을 털어놓았다. 비록 그들을 만난 적은 없다고 했지만.

 

5년이 끝나갈 무렵, 그 달인은 육태안씨에게 말했다, “난 자네에게 모든 걸 가르쳤다고 생각해왔어. 다시는 오지 말고, 내 장례식에도 절대 오지 말게. 난 자네에게 가르쳐준 움직임들 속에 살아 있다네.”

 

그렇다 해도, 육태안씨는 계속 방문했다. 더 이상 아무 것도 배우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스승은 충주에 계속 살지만, 지금은 아무 것도 가르치지 않고 있으며, 그의 손자와 시간을 보내는 것을 즐긴다.

 

“그는 학교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서, 사회적 지위가 낮습니다,” 육태안씨는 옛 추억에 잠겼다. “저는 그것 때문에 그 분께서 자신의 배움을 공개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 분은 사람들이 이 무술을 천시하길 원하지 않으신 거죠.”

 

 

부활한 무술

육태안씨는 지금 그의 일생의 사업은 이 무술의 부활을 이끌어 나아갈 합리적 체계의 완성이라고 여긴다.

 

잘 관리된 서울 남쪽의 도장에서 그가 시범하는 동작들은 흐르는 듯 하고 박자감이 있다. 어떤 누구도 그것을 태권도나 합기도와 혼동하지는 않을 것이다. 비록 이전에 다른 무술을 배운 경험이 있는 무술가들이 그것을 배우는데 훨씬 더 빠르기는 하지만 말이다.

 

그는 수벽을 “칼을 쓰지 않는 칼싸움,”이라고 부르며, 광범위한 응용은 손뼉치기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한다. 현대의 무술들과는 달리, 발차기는 대개 낮게 한다. 딴죽과 던지기 종류가 있고, 짧은 칼과 막대기도 사용된다.

 

수벽의 몸 풀기 동작은 척추와, 독특하게도, 손뼉 치기 동작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육태안씨의 주장에 따르면, 몸, 마음, 그리고 정신의 통합을 돕는다고 한다. 그는 수벽치기의 건강적 측면에 대한 책을 저술해왔고, 또한 프랑스 아비뇽,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벨기에 브뤼셀의 축제에서 수벽을 시범해왔다.

 

“수벽치기에는 1-2-3같은 조직적인 형의 순서 같은 것이 없습니다,” 태권도와 합기도를 수련한 후 수벽치기를 배우러 온, 37살의 직장인, 홍준의씨는 말한다. “그리고 태권도와 가라데처럼 격렬한 동작도 없어요; 그건 자연스런 동작, 움직임의 원리죠. 그러나 그 원리들을 터득하기만 하면, 당신은 스스로 1,000가지의 형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홍준의씨는 또한 수벽은 문화적으로 한국인에게 매우 적합하다고 말하는데, 그것은 한국인들은 한국 전통무용에서 나온 움직임과 박자를 즉각 알아보기 때문이라고 한다.

 

모순적이게도, 힘은 부드러움 속에 있다. “억지로 힘을 들여서 격파 연습 같은 걸 하지 않음에도, 수벽을 수련한 후, 더 강한 위력으로 펀칭백을 타격할 수 있다는 걸 알고 놀랐었죠,” 홍준의씨는 말한다.

 

육태안씨는 무규칙의(no-holds-barred) 무술들로 기우는 유행에 대해 비호의적이다. 대신, 그는 예술적이고도 건강에 유용한 측면들을 가르치기를 선호한다.

 

“이 무술은 격투에 대한 것이 아니라, 당신의 내적 평형을 찾는 것에 대한 것입니다,” 그는 말한다. “대련과 격투는 무술의 부분이지, 전체가 아닙니다.”

 

그는 수벽을 비밀로 하지 않지만, 초보자들을 받지는 않는다: 다른 무술들에 광범위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만을 받아들이며, 배우들이나 무용수들도 그러하다. 찾아내어 배우는 데에 너무나 많은 고난이 있었던 이 무술은 무척 심오한 것이라고 그는 말한다.

 

“무술은 스포츠가 될 수 없습니다,” 그는 말한다. “그것은 육체 문화와 정신의 혼합에 있어 인류 최고의 성취입니다(They are mankind’s pinnacle of achievement in the blending of physical culture and spirit.).”

by Andrew Salmon